[개강안내] [칼럼] 포드의 IT 견인과 헨리 포드의 혁신[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19-07-22 09:52 조회646회 댓글0건본문
<p> 포드자동차의 창업자 헨리 포드가 역사에서 주목을 받은 이유는 '혁신'이다. 그는 소수 부유층의 상징이었던 자동차를 누구나 구입해 탈 수 있도록 대중화를 개척한 인물이다. 특히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조립라인은 2분에 1대가 생산될 만큼 자동차 산업의 근간을 바꾼 일로 평가되고 있다. </p>
<p> </p>
<p> 하지만 시간이 흘러 수많은 자동차회사가 등장하고, 같은 대량생산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포드 또한 경쟁에 말려들었다. 만들기만 하면 팔리던 산업화 시대가 마감됐고, 변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리고 변화에서 포드는 늘 앞서가지 못했다. 그 결과 지난 2005년 681만대로 글로벌 3위였던 순위는 지난해 663만대에 그쳐 6위로 주저앉았다. 물론 경쟁자보다 뛰어난 제품력을 보여주지 못한 탓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p>
<p> </p>
<p> 그러자 포드는 절치부심했다. 헨리 포드처럼 시장 선점이 가능한 방법 찾기에 골몰했고, 혁신의 결과물로 'IT'를 주목했다. 자동차와 IT를 가장 빠르게 접목시켜 창업자 헨리 포드가 이뤄낸 대량 생산과 같은 패러다임 전환을 선언했다. 헨리 포드가 생산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면 지금은 제품의 패러다임을 바꾼다는 의미다. </p>
<p> </p>
<p> 그 중심에는 마크 필즈(Mark Fields) 사장이 있다. IBM 출신인 마크 필즈 CEO는 1989년 포드로 자리를 옮겨 산하 여러 브랜드를 두루 섭렵한 뒤 2015년 5월 포드 CEO에 올랐다. 이후 포드에는 다양한 내부 변화가 일어났다. IT 출신 인재 영입이 활발했고, 반대로 포드 출신이 IT로 건너가 상호 시너지를 만들고 있다. 급기야 포드는 앞으로 자동차를 IT 제품의 연장으로 활용하겠다는 복안도 발표했다. 포드가 구글의 손을 굳게 잡은 것도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p>
<p> </p>
<p> 오는 25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2016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도 포드의 행보는 확고했다. 음성명령이 가능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싱크3를 선보이는가 하면 자동결제 시스템 '포드패스(FordPass)'도 공개했다. 나아가 결제 시스템을 활용해 독일에선 카셰어링 사업에 진출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또한 주차장 이용도 손쉽게 결제되도록 했다. 한 마디로 자율주행을 '혁신'의 주제로 삼아 다시 도약하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중이다. </p>
<p> </p>
<p> 실제 포드의 행보는 빠르다. 자율주행 분야 투자규모를 그 어느 기업보다 크게 늘려가는 중이며, 스스로 운전이 가능한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차 제품을 가장 많이 보유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자동차기업 중 최초로 빙판길에서도 주행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인 것도 IT 혁신의 일환이다. </p>
<p> </p>
<p> 그래서일까. 메르세데스 벤츠와 토요타, BMW, 아우디, GM 등 쟁쟁한 자동차회사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적극적이지만 그 중에서도 포드의 활약은 유난히 돋보인다. 전통적인 모터쇼 뿐 아니라 IT 박람회가 열리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가 자율주행차 기술을 뽐낸다. 그래서 지금의 포드를 두고 '혁신의 아이콘'이었던 헨리 포드의 부활로 비유하기도 한다. 헨리 포드의 자동차 대중화 견인이 지금 시대에는 자율주행차 견인으로 살아나는 것 같다. </p>
<p> </p><div style='position: absolute; left: -7777px; top: -7777px;' class='sound_only display-none wfsr ui-helper-hidden'><a href='http://mydirect2.navermodoo.com'>자동차보험료비교견적사이트,자동차보험료계산기,자동차보험비교견적사이트,인터넷자동차보험비교,자동차보험견적 실시간 상담</a></div>
<p> </p>
<p> 하지만 시간이 흘러 수많은 자동차회사가 등장하고, 같은 대량생산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포드 또한 경쟁에 말려들었다. 만들기만 하면 팔리던 산업화 시대가 마감됐고, 변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리고 변화에서 포드는 늘 앞서가지 못했다. 그 결과 지난 2005년 681만대로 글로벌 3위였던 순위는 지난해 663만대에 그쳐 6위로 주저앉았다. 물론 경쟁자보다 뛰어난 제품력을 보여주지 못한 탓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p>
<p> </p>
<p> 그러자 포드는 절치부심했다. 헨리 포드처럼 시장 선점이 가능한 방법 찾기에 골몰했고, 혁신의 결과물로 'IT'를 주목했다. 자동차와 IT를 가장 빠르게 접목시켜 창업자 헨리 포드가 이뤄낸 대량 생산과 같은 패러다임 전환을 선언했다. 헨리 포드가 생산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면 지금은 제품의 패러다임을 바꾼다는 의미다. </p>
<p> </p>
<p> 그 중심에는 마크 필즈(Mark Fields) 사장이 있다. IBM 출신인 마크 필즈 CEO는 1989년 포드로 자리를 옮겨 산하 여러 브랜드를 두루 섭렵한 뒤 2015년 5월 포드 CEO에 올랐다. 이후 포드에는 다양한 내부 변화가 일어났다. IT 출신 인재 영입이 활발했고, 반대로 포드 출신이 IT로 건너가 상호 시너지를 만들고 있다. 급기야 포드는 앞으로 자동차를 IT 제품의 연장으로 활용하겠다는 복안도 발표했다. 포드가 구글의 손을 굳게 잡은 것도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p>
<p> </p>
<p> 오는 25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2016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도 포드의 행보는 확고했다. 음성명령이 가능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싱크3를 선보이는가 하면 자동결제 시스템 '포드패스(FordPass)'도 공개했다. 나아가 결제 시스템을 활용해 독일에선 카셰어링 사업에 진출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또한 주차장 이용도 손쉽게 결제되도록 했다. 한 마디로 자율주행을 '혁신'의 주제로 삼아 다시 도약하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중이다. </p>
<p> </p>
<p> 실제 포드의 행보는 빠르다. 자율주행 분야 투자규모를 그 어느 기업보다 크게 늘려가는 중이며, 스스로 운전이 가능한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차 제품을 가장 많이 보유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자동차기업 중 최초로 빙판길에서도 주행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인 것도 IT 혁신의 일환이다. </p>
<p> </p>
<p> 그래서일까. 메르세데스 벤츠와 토요타, BMW, 아우디, GM 등 쟁쟁한 자동차회사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적극적이지만 그 중에서도 포드의 활약은 유난히 돋보인다. 전통적인 모터쇼 뿐 아니라 IT 박람회가 열리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가 자율주행차 기술을 뽐낸다. 그래서 지금의 포드를 두고 '혁신의 아이콘'이었던 헨리 포드의 부활로 비유하기도 한다. 헨리 포드의 자동차 대중화 견인이 지금 시대에는 자율주행차 견인으로 살아나는 것 같다. </p>
<p> </p><div style='position: absolute; left: -7777px; top: -7777px;' class='sound_only display-none wfsr ui-helper-hidden'><a href='http://mydirect2.navermodoo.com'>자동차보험료비교견적사이트,자동차보험료계산기,자동차보험비교견적사이트,인터넷자동차보험비교,자동차보험견적 실시간 상담</a></div>